시를 한 번 해석해 볼까요? -첫 수업- 이성부, <봄> 시를 한 번 해석해 볼까요? 학생들은 -제가 만난 많은 학생들은- 모르는 시를 처음 보면 해설부터 보고, 중요한 데 줄 긋고, 그리고 그것을 암기한다고 대부분 답했습니다. 저도 교사 초기에는 그렇게 생각한 적이 있었습니다. 학생들보다 훨씬 많은 자료를 읽고, 그것을 잘 정리해서, 잘 가.. 문학 수업 2016.03.17
3월 10일 모의고사 국어(2학년) 분석자료 올립니다 160301 모의고사 분석 자료 학생용.hwp 160310 전국모의고사 분석1.hwp 이틀에 걸쳐 빈 시간마다 만든 소중한 자료입니다. 수능을 꿰뚫고 있어야 인문계고등학교 교사로서 아이들 앞에 할 말이 있을 겁니다. 흔히 아이들은 국어 공부를 할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서 문제집만 처음부.. 국어수업자료 2016.03.11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모둠수업 스케치-가감 없이 있는 그대로 앞의 글 <소설 수업,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를 고민하시나요?>에 이은, 실제 수업 이야기입니다. 소설에서 무엇을 가르칠지를 어떻게 선정하는지는 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단원 : Ⅰ.문학의 수용과 생산 1. 유기적 연관을 고려한 작품 수용과 창작 (2) 메밀꽃 필 무렵 단원학.. 문학 수업 2016.03.10
비문학수업이야기7-질문하며 읽기 앞의 '비문학수업이야기 1-6'에서는 제가 가장 기본적인 단계인 형식문단의 내용 파악하기, 이를 내용문단으로 묶기-이를 더 큰 덩어리로 묶어 글 전체의 요지와 주제 파악하기 등의 단계에 대해 이야기했었습니다. 이런 것들이 '사실적 사고영역'에 해당됐었죠? 그런데 중학교 2학년 단원.. 비문학 수업 2016.03.09
소설 수업,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를 고민하시나요? 저는 소설 수업을 모둠활동 20분, 모둠별 발표 15분-20분, 저의 피드백 10-15분으로 진행합니다. 수업에서 우리는 항상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하나를 생각해야 하고, 어떻게 가르칠까를 고민해야 합니다. 요즘 학생중심 수업, 활동 수업이 강조되고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방법만 생각하다 보.. 문학 수업 2016.03.06
비문학 수업 이야기 1부를 접으면서, 제 공책을 공개합니다 2부는 독서 수업을 하는 2학기 때 올리겠습니다. 저희 학교는 1학기는 문학, 2학기는 독서이거든요. 1학기에는 문학 수업을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건 부록... 선생님들이 학교 행사를 이야기하다가 "몇월 몇일에 무슨 일이 있었지?" 하시면 저는 바로 제 공책을 펴 봅니다. 거기에 모든 .. 비문학 수업 2016.03.01
비문학수업이야기6-하브루타와 모둠 퀴즈대회를 접목한 신나고 긴장되는 두 시간 구체적 비문학 수업 방법을 하나 더 공개합니다. 하브루타는 모두 잘 아시죠? 이걸 이용해서 두 시간짜리 패키지 수업을 만들었습니다. 하브루타와 모둠 퀴즈대회를 접목한 신나고 긴장되는 두 시간 ※ 하브루타 : 유태인의 학습법. 2인1조가 되어 묻고 대답하며 함께 공부하는 방법. 일정.. 비문학 수업 2016.03.01
비문학수업이야기5 -고등학교-수능과 연계하기 고등학교에서 수업을 할 때 저는 1학년의 경우 지금까지의 단계를 매우 중요시하는 수업을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만 해서는 수능 비문학에서 좋은 점수를 얻기 힘듭니다. 주어진 시간 안에 지문을 다 읽고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이렇게 하다가는 시간 안에 절반도 풀지 못하겠죠. 그래서,.. 비문학 수업 2016.03.01
비문학수업이야기4-형식단락별 내용 파악 다음 단계는요? 비문학수업이야기4-형식단락별 내용 파악 다음 단계는요? 자, 형식단락별 내용 파악이 끝났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반대로 아이들에게 묻습니다.(모둠활동은 계속됩니다.) "1문단에선 이런 얘기를 하고 있어요. 그럼 비슷한 얘기가 어디까지 계속되고 있지? 어디서 얘기가 바뀌어요?" 아이.. 비문학 수업 2016.03.01
비문학수업이야기3-형식단락별 내용 파악하기, 재미있게 할 수는 없을까요? 비문학수업이야기3-형식단락별 내용 파악하기, 재미있게 할 수는 없을까요? 첫 번째 이야기에서 위계화 얘기를 했었습니다. 이렇게요. 저는 고등학교에서 국어 수업을 계속 하다가 작년 한 해 동안 중학교 1-3학년 국어 수업을 했습니다. 그 때 느낀 것은 중학교 때부터 아이들에게 무엇이 .. 비문학 수업 2016.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