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극을 매개로 한 수업 이야기2 : 납작납작-박수근 화법을 위하여 2차시 드디어 2차시! 바로 교육연극을 이용한 시 수업입니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국어일기를 읽으면서 수업이 시작됩니다. 국어일기에는 전 시간의 분위기, 전 시간에 수업을 한 내용, 다른 모둠의 발표, 글쓴이의 감상, ... 여러 가지가 다 나와 있습니다. 국어일기 읽기를 통해 전시학습을 ..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수업 2016.04.27
교육연극을 매개로 한 수업 이야기1 : 납작납작-박수근 화법을 위하여 1차시 교과서의 단원 중에 극 단원, 특히 희곡 단원이 나오면 많은 선생님들이 부담스러워합니다. 전공자도 아닌데 연극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이겠죠? 쉽게 할 수 있는 교육연극 수업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교육연극에 대한 여러 가지 지식은 목록 한참 아래로 내려가시면 '교육연극을 활용한 ..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수업 2016.04.27
<중2> 소설 사랑손님과 어머니-시점 이해 수업 오늘 저녁에 올리려고 했는데 늦었습니다. 이 수업은 2015년에 중2 학생들과 했던 수업입니다. 단원은 '사랑손님과 어머니', 학습목표는 시점에 대한 이애입니다. 아이들이 시점에 대해 무조건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게 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시점이 작품 안에서 어떤 기능을 하..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수업 2016.03.25
시를 한 번 해석해 볼까요? -첫 수업- 이성부, <봄> 시를 한 번 해석해 볼까요? 학생들은 -제가 만난 많은 학생들은- 모르는 시를 처음 보면 해설부터 보고, 중요한 데 줄 긋고, 그리고 그것을 암기한다고 대부분 답했습니다. 저도 교사 초기에는 그렇게 생각한 적이 있었습니다. 학생들보다 훨씬 많은 자료를 읽고, 그것을 잘 정리해서, 잘 가.. 문학 수업 2016.03.17
3월 10일 모의고사 국어(2학년) 분석자료 올립니다 160301 모의고사 분석 자료 학생용.hwp 160310 전국모의고사 분석1.hwp 이틀에 걸쳐 빈 시간마다 만든 소중한 자료입니다. 수능을 꿰뚫고 있어야 인문계고등학교 교사로서 아이들 앞에 할 말이 있을 겁니다. 흔히 아이들은 국어 공부를 할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서 문제집만 처음부.. 국어수업자료 2016.03.11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모둠수업 스케치-가감 없이 있는 그대로 앞의 글 <소설 수업,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를 고민하시나요?>에 이은, 실제 수업 이야기입니다. 소설에서 무엇을 가르칠지를 어떻게 선정하는지는 그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단원 : Ⅰ.문학의 수용과 생산 1. 유기적 연관을 고려한 작품 수용과 창작 (2) 메밀꽃 필 무렵 단원학.. 문학 수업 2016.03.10
비문학수업이야기7-질문하며 읽기 앞의 '비문학수업이야기 1-6'에서는 제가 가장 기본적인 단계인 형식문단의 내용 파악하기, 이를 내용문단으로 묶기-이를 더 큰 덩어리로 묶어 글 전체의 요지와 주제 파악하기 등의 단계에 대해 이야기했었습니다. 이런 것들이 '사실적 사고영역'에 해당됐었죠? 그런데 중학교 2학년 단원.. 비문학 수업 2016.03.09
소설 수업,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를 고민하시나요? 저는 소설 수업을 모둠활동 20분, 모둠별 발표 15분-20분, 저의 피드백 10-15분으로 진행합니다. 수업에서 우리는 항상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하나를 생각해야 하고, 어떻게 가르칠까를 고민해야 합니다. 요즘 학생중심 수업, 활동 수업이 강조되고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방법만 생각하다 보.. 문학 수업 2016.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