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수업 함께 해요 12 - 문장성분 주제발표 및 강의 (1/2 차시-주제 토의 및 강연 준비) 새로운 중단원에 들어왔습니다. Ⅱ. 국어 구조의 이해 3. 문장 새로운 중단원에 들어오면 아이들 스스로 개념을 정립하는 훈련을 시키기 위해 모둠별 강연회를 시킨다고 했죠? 이번에도 강연회를 하기로 했습니다. '문장성분에 대해 설명하기'입니다. 보통 다른 강연은 하나의 주제로 다.. 고2 독서와 문법 수업 2016.11.09
문법 수업 함께 해요 11 - 아이들이 좋아하는 지문을 활용한 '품사 찾기 놀이' 문법시간에 한 명도 졸거나 한눈파는 학생이 없는 수업, 그 정도가 아니라 아이들이 신나게 떠들고 깔깔웃고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머리를 맞대고 토의하는 수업, 그런데 어쩌다 한두 번 그런 것이 아니라 항상 그런 문법수, 믿기시나요? 저와 우리 아이들의 문법수업은 항상 그렇습니다... 고2 독서와 문법 수업 2016.11.08
문법수업 함께 해요 10 - <품사의 분류> 강연회 제 문법 수업에는 약간의 패턴이 있습니다., 1. 단원(음운, 단어, 문장 등)을 새로 들어갈 때 반드시 학생들이 그 단원에 대해 강연회를 하도록 합니다. 새로운 중단원 1차시는 강연회 준비, 2차시는 강연회 및 상호 평가입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단원 첫머리에서 아이들은 그 단원에서 .. 고2 독서와 문법 수업 2016.11.07
문법 수업 함께 해요 9. '음운 변동의 공식'을 모둠별로 만들기 앞 시간에는 '시장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음운변동의 원리를 놀면서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아주 흥분되었던 시간을 보냈으니 이번 시간에는 게임을 할 때보다는 조금 차분하게, 그리고 좀 더 깊이있게 다가가기로 했습니다. 수능 문제를 보면 문법 현상을 달달 외워서 풀 수 있는 문제는.. 고2 독서와 문법 수업 2016.11.07
옛날에 한 건데...교육연극을 활용한 김유정의 <봄, 봄> 수업 이야기입니다 * 2003년에 쓴 원고인데 요청이 있어서 올립니다. 김유정의 <봄, 봄> 수행평가 기록입니다 2. 단원 3. 다양한 표현과 이해(고등학교 국어 상) (1) 대상 : 상주여고 1학년 학생 각반 30명*7개반 (2) 단원 개관 이 단원은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표현에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표현 방..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수업 2016.10.31
<문법수업 함께 해요> 7. 시장놀이 2/2차시 <2차시> 라) 책상 세 개를 길게 붙여 카드를 색깔별로 길게 전시합니다. 마) 이제부터 시장놀이가 시작됩니다. 한 명은 가게를 지키고 정리합니다. 나머지 두 명은 다른 모둠에 가서 각각 한 가지 색깔의 카드를 사 옵니다. 가격은 무료입니다. 교사는 시장놀이 시작과 동시에 타이머를 .. 고2 독서와 문법 수업 2016.10.28
<문법수업 함께 해요> 6. 시장놀이 1/2차시 직소(Jicsaw)를 이용한 ‘시장놀이’ <이 수업의 취지와 방법> 음운 변동은 학생들이 딱딱하고 어렵게 느끼는 단원입니다. 그러나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각각의 예를 드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하면 쉽게 익힐 수 있는 단원이기도 합니다. 협동학습과 놀이를 통해 음운변동의 원리를.. 고2 독서와 문법 수업 2016.10.28
문법 수업 함께 해요 5 - 문법수업을 하기에 앞서 생각할 것들 앞에서 보았듯이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그 동안 제대로 짜여져 있지 않았던 갖가지 내용요소들이 상당부분 위계화되었습니다. 몇 학년에서 무엇을 학습하게 해야 하느냐는 학생의 지적 발달 단계를 고려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교사는 ‘내가 수업을 하는 학년’뿐 아니라 .. 고2 독서와 문법 수업 2016.09.28
문법수업 함께 해요5-2015 교육과정, 2009교육과정과 달라진 점 나. 2015 국어과 교육과정 중 문법 부분 1) 공통 과목인 ‘국어’ 가) <표5> 내용 체계(중, 고등학교)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학년(군)별 내용요소 기능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교 1학년 ‣국어의 본질 국어는 사고와 의사소통의 수단이 되는 기호 체계로서, 언어의 보편성을 바탕으로.. 고2 독서와 문법 수업 2016.09.28
문법 수업 함께 해요 4-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2009 교욱과정 검토하기 ‘문법’ 하면 아이들은 “어려워요.”, “싫어요.”, “재미 없어요.” 라고 말하며 고개부터 절레절레 흔듭니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학교 교육과정에서, 좀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문법’이 차지하는 비중이 슬그머니 높아져 버렸습니다. 문법을 싫어하는 아이.. 고2 독서와 문법 수업 2016.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