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극 22

중2-2 _미래엔_ 2. 효과적인 의사소통_(1) 담화의 개념과 특징

중2 아이들에게 '발화'니 '담화'니 하는 개념들은 매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평소에 전혀 사용하지 않는 개념이기 때문이죠. 이걸 억지로 주입식으로 암기하려고 한다면 아마 아이들은 '담화'의 껍데기만 기계적으로 암기하다 시험이 끝남과 동시에 모두 잊어버리게 될 겁니다. 그래서, ..

중2-2 _미래엔_ 1. 함께 보아요_(1) 함께 읽고 감상하기_문학 작품 재구성

2학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중2 남학생들은 방학 동안 참 많이 자라는 것 같습니다. 개학날, 아이들은 키도 커졌고, 목소리도 굵어졌습니다. 하지만 방학내내 만끽했던 '자유로움'과 '공부와 담쌓음'도 그대로 학교로 가져왔습니다. 수업을 하고 싶을 리가 없습니다. 이런 아이들의 마음을 ..

중2 _미래엔_ 1. 경험의 발견과 공감_(3) 공감하며 대화하기

교과서에 나오는 지문은 열다섯 살의 남학생에게 크게 공감이 되지는 않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래서 '교육연극'의 방법을 활용하여 수업을 했습니다. *'교육연극'에 대해서는 이 블로그의 '교육연극' 게시판을 보셔도 좋고, 더 깊이 알고 싶으시면 '강의원고' 게시판에서 '교육연극'에 관한..

옛날에 한 건데...교육연극을 활용한 김유정의 <봄, 봄> 수업 이야기입니다

* 2003년에 쓴 원고인데 요청이 있어서 올립니다. 김유정의 &lt;봄, 봄&gt; 수행평가 기록입니다 2. 단원 3. 다양한 표현과 이해(고등학교 국어 상) (1) 대상 : 상주여고 1학년 학생 각반 30명*7개반 (2) 단원 개관 이 단원은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표현에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표현 방..

교육연극을 매개로 한 수업 이야기2 : 납작납작-박수근 화법을 위하여 2차시

드디어 2차시! 바로 교육연극을 이용한 시 수업입니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국어일기를 읽으면서 수업이 시작됩니다. 국어일기에는 전 시간의 분위기, 전 시간에 수업을 한 내용, 다른 모둠의 발표, 글쓴이의 감상, ... 여러 가지가 다 나와 있습니다. 국어일기 읽기를 통해 전시학습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