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취기준: • 읽기의 가치와 중요성을 깨닫고 읽기를 생활화하는 태도를 지닌다. • 생각이나 느낌, 경험을 드러내는 다양한 표현을 활용하여 글을 쓴다. 2) 핵심 질문: •‘한 권 읽기’의 효과는 무엇일까? • 다양한 표현 활용의 효과는 무엇일까? 3) 배움요소: ‘한 권 읽기’ 해보기 → 읽은 책을 소개하기 4) 배움 자료: 2-3 한권읽기계획표 |
<수업 방법>
<1차시>: 교과서 <민재의 독서 일기> 읽기, 독서 모둠 짜기
<2차시>: 독서 및 독서신문 계획하기
1. 모둠별로 테마를 정하여 독서계획을 짠다. 단, 하나의 테마로 묶기를 원하지 않는 모둠에서는 각자가 원하는 책을 고르는 것을 허용한다.
2. 모둠별로 독서신문에 게재할 기사를 고르고, 각자가 할 역할을 정한다.
<3~6차시>: 독서 과정 점검, 책 읽기
1. 준비해 온 책을 모둠 안에서 정한 규칙대로 모둠 전체가, 또는 각자가 읽고, 독서 과정을 점검한다.
<7차시>: 독서신문 만들기(모둠활동)
1. 2차시에 했던 독서신문 만들기 계획에 따라 자신이 읽은 책을 토대로 함께 독서신문을 만든다.
<8차시>: 독서신문 발표
1. 각자 만든 독서신문을 발표하고 교실 벽에 붙인다.
<수업일기> 2학년 2학기 과정에 들어 있던 ‘한 권 읽기’를 조금 앞당겨 2.-(1)과와 연계해 계획해 보았다. 학생들 중 절반 이상이 만화 이외의 책 한 권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은 적이 없다고 대답했다. 학생들은 책을 빌리러 도서관에 가는 경험부터 책 읽기 계획을 하여 정해진 시간에 책을 한 권 모두 읽고 독서신문까지 만드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이 수업 이후 책 읽는 것이 낯설지 않게 느껴졌다고 많은 학생들이 대답했으며 책을 좋아하게 되었다고 대답한 학생도 있었다. 우리 아이들의 책읽기는 이제 첫 발을 떼었다. |
'중학교 2학년 국어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2 _미래엔_ 3. 소통하는 우리_(1) 핵심이 드러나는 발표 (0) | 2019.11.03 |
---|---|
중2 _미래엔_ 3. 소통하는 우리_(한글의 창제 원리와 특성) (0) | 2019.11.03 |
중2 _미래엔_ 2. 읽고 쓰는 즐거움_(1)과학자의 서재_'읽기' 수업 (0) | 2019.11.03 |
중2 _미래엔_ 4.세상을 보는 눈_(2)동백꽃_ '서술자' (0) | 2019.11.03 |
중2 _미래엔_ 4.세상을 보는 눈_(1)귀뚜라미_ '시적화자' (0) | 2019.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