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과정을 검토해 볼까요?
가. 2009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교육과정 내용 핵심성취기준 문학의 수용과 생산 문학 작품의 구성 원리 31051. 섬세한 읽기를 바탕으로 작품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하며 평가한다. 31051-1. 다양한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31052. 작품은 내용과 형식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이루어짐을 이해하고 감상하며 창작한다. 31052-1. 문학이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구조체임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문학과 매체 31053. 다양한 매체로 구현된 작품의 창의적 표현 방식과 심미적 가치를 문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수용한다. 31053-2. 다양한 매체를 통해 구현된 작품들의 가치를 문학적 관점에서 주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문학과 인접 분야 31054. 문학이 예술, 인문, 사회 등 인접 분야와 맺고 있는 관계를 이해한다. 31054-3. 작품 속에서 인접분야의 동향이 반영된 부분을 찾고 그와 같이 생각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문학의 비판적 수용과 창의적 생산 31055. 다양한 시각과 방법으로 작품을 재구성하거나 창작한다. 31055-2. 원 작품의 창작원리나 구성 원리, 표현원리를 변형하여 작품을 재구성할 수 있다. 31056.작품을 비판적․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발표하여 서로 평가한다. 31056-1. 작품을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비판적, 창의적으로 해석하고 평가할 수 있다. 31056-2. 작품에 대한 해석을 다른 사람과 교환하고 이를상호 평가할 수 있다.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31057. 대표적인 작품을 통해 한국 문학에 나타난 전통과 특질을 이해한다. 31057-2. 문학사적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을 문학적 전통과 미적 특질을 고려하여 감상할 수 있다. 한국 문학과 사회 31058.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31058-2. 한국 문학 작품에 드러난 당대의 의식, 인물, 배경, 표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31059. 한국 문학 갈래의 전개와 구현 양상을 통하여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이해한다. 31059-2. 다양한 역사적 갈래들의 통시적 전개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310510.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점에서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이해한다. 310510-1. 보편성의 관점에서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비교하여 감상할 수 있다. 문학과 삶 문학과 자아 310511. 작품의 이해와 감상의 결과를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내면화한다. 310511-2.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인식적, 미적, 윤리적 가치를 탐색하여 자신의 생각과 비교할 수 있다. 문학과 사고 310512. 문학 활동을 통하여 창의적인 사고를 배양하고 이를 표현한다. 310512-3. 문학 작품을 창의적으로 재구성하고 창작할 수 있다. 문학과 삶의 다양성 310513. 문학을 통하여 자아를 성찰하고 타자를 이해하며 삶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한다. 310513-1. 작품 속 인물들의 삶과 생각을 통해 자신의 삶과 생각을 평가하고 성찰할 수 있다. 310513-2. 작품 속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바탕으로 다양한 삶의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문학과 공동체 310514. 문학 활동을 통하여 우리 사회의 다양한 공동체와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소통한다. 310514-1.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의식을 담아낸 문학작품을 읽고 공동체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 상황과 문제의식을 파악할 수 있다. 310515. 문학 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닌다. 310515-2. 한국 문화의 가치가 담긴 작품들을 읽고, 상생과공존의 공동체 문화를 발전시키고자 노력할 수 있다.
나. 문학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을 교육과정에 맞추어 정리했습니다.
대단원 소단원 학습목표 작품(제재) 장르 관련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Ⅰ.문학의 수용과 생산 2. 다양한 맥락을 고려한 작품 수용과 평가 · 문학 작품에 작용하는 다양한 맥락을 고려하여 문학 작품을 이해할 수 있다. · 섬세한 읽기를 바탕으로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여 평가할 수 있다. (1) 신석정, 꽃덤불 *심훈, 그 날이 오면 시 •31051 섬세한 읽기를 바탕으로 작품을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하며 평가한다. 31051-1. 다양한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핵심) 31051-2. 작품의 내적 요소들을 다양한 맥락에 비추어 해석할 수 있다. 31051-3. 작품의 수용과 생산을 둘러싼 다양한 맥락에 비추어 작품의 내적 요소를 평가할 수 있다. (2) 조위한, 최척전 소설 (3) 임철우, 사평역 소설 3. 비판적 수용과 창의적 생산 · 문학 작품을 비판적 · 창의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 문학 작품에 대한 해석이나 감상을 발표하고 평가할 수 있다. · 다양한 시각과 방법으로 문학 작품을 재구성하거나 창작할 수 있다. (1) 윤동주, 별 헤는 밤 *김춘수, 꽃 시 *31056.작품을 비판적․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발표하여 서로 평가한다.
*31055. 다양한 시각과 방법으로 작품을 재구성하거나 창작한다. 31056-1. 작품을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비판적, 창의적으로 해석하고 평가할 수 있다. (핵심) 31056-2. 작품에 대한 해석을 다른 사람과 교환하고 이를 상호 평가할 수 있다. (핵심) (2) 채만식, 태평천하 *이옥, 유광억전 소설 31055-1. 원 작품의 창작원리나 구성원리, 표현원리를 반영하고 모방할 수 있다. 31055-2. 원 작품의 창작원리나 구성 원리, 표현원리를 변형하여 작품을 재구성할 수 있다. (3) 이근삼, 원고지 희곡 Ⅲ. 한국 문학의 특질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 한국 문학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 한국 문학의 범위를 이해할 수 있다. (1) 정지상, 송인 시 31059. 한국 문학 갈래의 전개와 구현 양상을 통하여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이해한다. 31059-1. 한국 문학의 갈래가 구비문학, 한문문학, 국문문학의 영역 아래 다양한 역사적 갈래로 구현된 양상을 이해할 수 있다. 31059-2. 다양한 역사적 갈래들의 통시적 전개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핵심) (2) 봉산탈춤 *켕마쿵쿵 노세 극/ 민요 2.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 한국 문학의 전통과 미적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 문학 작품을 통해 한국 문학의 주제 의식, 가치관, 표현 양식 등을 이해할 수 있다. (1) 시조 두 편-맹사성, 강호사시가, 댁들에.. 시조 *31057. 대표적인 작품을 통해 한국 문학에 나타난 전통과 특질을 이해한다. 31057-1. 한국 문학의 문학적전통과 미적 특질을 설명할 수 있다. 31057-2. 문학사적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을 문학적 전통과 미적 특질을 고려하여 감상할 수 있다. (핵심) Ⅳ. 한국 문학의 흐름 1. 원시, 고대 및 고려 시대의 문학 · 원시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한국 문학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 이 시기 문학의 흐름을 바탕으로 대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1) 주몽 신화/*단군신화 신화 *31058.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31058-1. 작품을 읽고 작가의 창작 동기와 의도를 시대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31058-2. 한국 문학 작품에 드러난 당대의 의식, 인물, 배경, 표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핵심) 31058-3. 작품에 반영된 시대상황과 오늘날의 시대 상황을 비교하며 감상할 수 있다. (2) 찬기파랑가/ *정읍사/ *강강술래 향가 (3) 이규보, 이옥설/ *임춘, 공방전 수필 2. 조선 시대의 문학 · 조선 시대 한국 문학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 이 시기 문학의 흐름을 바탕으로 대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1) 정극인, 상춘곡/ *송순, 면앙정가 가사 *31058.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31058-1. 작품을 읽고 작가의 창작 동기와 의도를 시대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31058-2. 한국 문학 작품에 드러난 당대의 의식, 인물, 배경, 표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핵심) 31058-3. 작품에 반영된 시대상황과 오늘날의 시대 상황을 비교하며 감상할 수 있다. (2) 홍계월전 *김만중, 사씨남정기 소설 (3) 흥보가 *흥보전/ *정약용, 채호 판소리 사설
'문학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나는 고전문학 수업 3(교육연극으로 즐기는 고전소설 수업) (0) | 2016.08.10 |
---|---|
신나는 고전문학 수업 2(만화로 나타내는 고전시가 수업) (0) | 2016.08.10 |
영상시 만들기 수업, 이렇게 해 보세요^^* (0) | 2016.05.28 |
[스크랩] 2-2 우리이즈뭔들_어머니의 물감상자 (0) | 2016.05.28 |
[스크랩] 2학년 3반 이열조 별헤는 밤 동영상입니다.^^ (0) | 2016.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