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중2 남학생들은 방학 동안 참 많이 자라는 것 같습니다. 개학날, 아이들은 키도 커졌고, 목소리도 굵어졌습니다. 하지만 방학내내 만끽했던 '자유로움'과 '공부와 담쌓음'도 그대로 학교로 가져왔습니다. 수업을 하고 싶을 리가 없습니다.
이런 아이들의 마음을 생각하여, 2학기의 시작은 아이들이 신나게 즐길 수 있는 것들로 구성했습니다. 물론, 2월에 미리 재구성계획표를 짠 것에 방학 동안 다시 고민하여 수정한 '2학기 수업 내비게이션'을 바탕으로 말입니다.
2학기 첫 단원은 '문학 작품 재구성'에 해당하는 것인데, 우리 아이들은 1학기에 여러 가지 면에서 재구성과 이미 친해져 있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2학기에는 1학기보다 조금 더 짜임새 있는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기대를 하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참 많이 성장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성장은, 이제는 다른 모둠이 공연을 하거나 발표를 할 때 매우 진지하게, 집중해서 본다는 점과, 모둠 안에서 무임승차를 하는 학생이 거의 없어졌다는 점입니다. 아이들의 변화된 모습에 교사는 그저 고맙고 행복하기만 합니다^^
개학 직후이지만 우리는 '방학 후유증' 없이, 정말 신나게 국어 수업을 했습니다.
1) 성취기준: 재구성된 작품을 원작과 비교하고, 변화 양상을 파악하며 감상한다. 2) 핵심 질문: • 원작을 재구성한 작품에는 어떤 창작 과정과 상상이 반영되어 있을까? • 원작과 이를 재구성한 작품은 어떤 가치를 지닐까? 3) 배움요소: 재구성된 작품을 원작과 비교하여 변화 양상 파악하기 4) 배움 자료: • 자료 21-1 <흥부전> 전문 / • 자료 21-2 <흥부전> 재구성 계획서 / • 자료 21-3 모둠 평가표 |
<수업 방법 및 학생들의 배움 내용>
<1차시>: 교과서 <흥부전>과 <놀부전> 지문 읽고 요약하기 (짝토의)
1. 교과서 지문 <흥부전>을 읽고 내용을 요약한다.
2. <흥부전>을 재구성한 지문 <놀부전>을 읽고 내용을 요약한다.
3. 두 작품을 비교하고, <흥부전>의 어떤 점에 착안하여 재구성하였는지 짝과 토의하여 기록한다.
<2차시>: 고전소설 <흥부전> 전문 읽기, 재구성 계획하기
1. 교사는 고전소설 <흥부전>을 3~5분짜리 모둠별 연극으로 재구성하여 공연할 계획을 이야기하고 작품을 나누어 준다.
2. 학생들은 교과서외 지문인 <흥부전>의 전문을 읽는다.
3. (모둠활동) <흥부전>을 어떤 방법으로 재구성할 것인지 토의하여 재구성 계획표를 만든다.
1. 모둠별로 재구성 대본을 짜고 수정, 보완한다.
<5차시>: 연습 및 공연 준비
1. 연극 연습, 소품 만들기 등 모둠별로 공연에 필요한 최종 준비를 하도록 한다.
<6차시>: 공연 및 상호 평가
<수업 일기> 학생들은 재구성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친구들의 의견을 받아들였다. 1학기 때에 비해 의견 조정 과정이 매우 적극적이면서도 정돈된 모습이다. 연극을 한다는 사실만으로도 학생들은 신이 났다. 교과서에 나오는 <놀부전>보다 훨씬 근사한 재구성 작품을 만들겠다는 의욕을 보이며 학생들은 작품 속에 자신들의 모습을 가득 집어넣었다. 다른 시간에 자주 자거나 졸던 학생들도 즐겁게 활동했다. 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재구성된 작품이 하나의 또 다른 작품이 될 수 있음을 느꼈다고 한다. 또한 재구성을 할 때 원작을 철저히 읽은 다음 원작의 어느 부분에서 아이디어를 모아 재구성을 해야 한다는 점을 배웠다고 말했다. 재구성에 대한 학생들의 안목이 놀라웠다. |
'중학교 2학년 국어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2-2 _미래엔_ 2. 효과적인 의사소통_(1) 담화의 개념과 특징 (4) | 2019.11.03 |
---|---|
중2-2 _미래엔_ 1. 함께 보아요_(2) 한 권 읽고 재구성하기_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_문학 작품 재구성 (0) | 2019.11.03 |
2학년 2학기 수업 내비게이션 (0) | 2019.11.03 |
2학년 1학기 수업 내비게이션 (0) | 2019.11.03 |
중2 _미래엔_ 3. 소통하는 우리_(1) 핵심이 드러나는 발표 (0) | 2019.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