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문학뿐 아니라 화작문, 비문학, 문학 모두 분석한 자료들입니다.
모의고사 날 제가 분석한 자료와 학생들이 분석해 볼 자료를 만들어서 학생들에게 나누어주었습니다.
그 땐 가정에서 과제를 해 온 것을 수행평가에 넣을 수 있을 때여서, 학생들이 채워 온 분석 자료를 수행평가 개인 과제로 사용했었습니다.
어떤 식으로 문제가 나오는지 아는 것, 지문을 읽고 분석할 줄 아는 것, 두 가지가 갖추어지면 수능은 자연스럽게 해결되죠.
어느새 행복한 중학교 교사가 된 제겐 정말 아득한 옛날 일처럼 느껴지지만
샘들께 도움이 될 것 같아 올립니다^^
<교사가 분석한 자료입니다. 학생들이 어떤 식으로 수능 대비를 하고 국어 공부를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도록 만든 자료입니다.>
3월 첫 모의고사 후 교사가 이렇게 분석을 해 주면 학생들은 수능에 어떻게 다가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스스로 잡습니다.
좀 힘들어도 교사의 모의고사 분석은 매달!! 그게 고3 담당 교사가 제일 신경 써야 할 부분 중의 하나입니다.
0411 전국연합서울-대성-전국연합경기 문항비교분석_노정 샘.hwp
이렇게 다른 시험과 이번 시험을 비교 분석해 주는 것도 아주 좋습니다.
<특히, 6월, 9월 모의대수능 이후의 교사의 분석은 필수입니다!! 그리고 9월 모의대수능 이후에 6, 9월 모의대수능 비교 분석을 해서 학생들에게 나누어주면 학생들의 자신감이 아주 높아집니다. 학생들이 정서적으로도 매우 안정됩니다.>
<이건 학생들이 작성할 수 있도록 만든 양식입니다. 모의고사 끝난 후에 채점하면서 바로 이 양식을 채워 나가는 습관을 들이면 학생들이 자신이 어느 부분에 취약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2014 9월 모의평가 분석을 통한 수능 만점 전략 학생용.hwp
<이건 수능을 좀 앞두고 학생들이 최종점검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자료입니다> - 아주 효과적인 자료입니다. 그 동안의 모의고사에서 자신이 어떤 유형에 취약했는지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자료입니다. 학생들이 이 자료 정말 좋았다고 입을 모아 말했습니다.
'문학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3월 13일 오전 11:53 (0) | 2020.03.13 |
---|---|
2020년 3월 13일 오전 11:52 (0) | 2020.03.13 |
<고3 샘들을 위한 수능대비자료 1> -시, 소설 기출 지문 분석 자료입니다(미완성) (0) | 2020.02.25 |
교육과정 재구성 (0) | 2016.09.13 |
신나는 고전문학 수업 3(교육연극으로 즐기는 고전소설 수업) (0) | 2016.08.10 |